GIT3 터미널 세팅 후 자꾸 초기값으로 돌아가는거 고치기 어제 iterm을 다시 깔고 세팅을 했는데 껐다 키면 color 등 설정이 다시 초기값으로 돌아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session 에서 edit session 으로 들어가서 설정을 했는데 아무리 저장해도 다시 키면 거무튀튀한 화면이 나오는 것이다ㅜㅜㅜ 설정을 잘못 들어가서 생긴 일이지만 그래도 삽질을 하다 발견한 내용을 블로그에 적어보기로 했다! iterm2 키고 우측 상단 profiles open profiles 클릭 원하는 profile name 클릭 edit profiles 클릭 설정 창이 뜬다! 여기서 설정을 하면 원하는 profile name의 세팅값으로 설정되어 껐다 켜도 설정이 저장되어있다. 칙칙한 iterm에 색 넣어주기 완성!! 2023. 6. 12. 초보자의 터미널 명령어로 git을 github에 올리기 2편 저번 편에서 local에 있는 git을 github에 올리는 명령어를 알아보았다. 오늘은 github에 있는 코드를 내려받고 local의 코드와 합치고 재업로드 하는 것을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추가적으로 알게된 명령어를 정리해보았다. git clone 기존 github의 repository에 있는 코드를 내 로컬로 가져오는 명령어 파일 전체를 가지고 오기때문에 처음에 아무것도 없을 때 사용 git clone 레파지토리주소 이때 repository 주소에는 origin 등 별칭을 적으면 안됨 git branch 현재 내가 있는 branch name을 알 수 있음 git branch 브랜치이름 main/ master의 코드에 영향이 안가도록 독립된 개발 공간을 만들어주는 명령어 브랜치 이름은 내 임의로 정.. 2023. 6. 8. 초보자의 터미널 명령어로 git을 github에 올리기 1편 비전공자에 컴퓨터와 익숙하지 않아서 나에게 터미널은 검은 바탕에 흰 꼬부랑 지렁이로 다가왔고 솔직히 진짜 건들기도 무섭고 하기도 싫게 생겨서 친해질래야 친해질 수가 없었다. 그래서 나같은 사람들을 위해 그냥 따라하기만 해도 터미널과 친해지고 github에 올라가게끔 밑에 정리해두었다. 일단 먼저 git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았다. git 이란 →VCS(version control system) 어떤 프로그램 수정, 개선하고 완성하는 것 이전과 약간씩 다른 변화를 구분하고 표시 git 명령어 git init git을 저장할 저장소를 만들어주는 명형어 반드시 git을 관리할 파일에서만 실행 로컬에서 첫 시작 후 github에 push할 때 처음 한번만 사용 만약 github에서 pull 받아온 내용이라면 안해.. 2023. 6.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