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도 삽질 중🍀/기타

초보자의 터미널 명령어로 git을 github에 올리기 1편

by 매진2 2023. 6. 7.
728x90

비전공자에 컴퓨터와 익숙하지 않아서 나에게 터미널은 검은 바탕에 흰 꼬부랑 지렁이로 다가왔고

솔직히 진짜 건들기도 무섭고 하기도 싫게 생겨서 친해질래야 친해질 수가 없었다.

그래서 나같은 사람들을 위해 그냥 따라하기만 해도 터미널과 친해지고 github에 올라가게끔 밑에 정리해두었다.

 

일단 먼저 git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았다.


git 이란 →VCS(version control system)

  • 어떤 프로그램 수정, 개선하고 완성하는 것
  • 이전과 약간씩 다른 변화를 구분하고 표시

git 명령어

  1. git init
    • git을 저장할 저장소를 만들어주는 명형어
    • 반드시 git을 관리할 파일에서만 실행
    • 로컬에서 첫 시작 후 github에 push할 때 처음 한번만 사용
    • 만약 github에서 pull 받아온 내용이라면 안해도됨
  2. git status
    • 디렉토리에서 지금 프로그램 작업 상태, git 상태 확인
  3. git add
    • 수정한 파일에 대한 이력을 남길 준비를 하겠다고 미리 알려줌
    • 마음에 드는 물건을 장바구니에 담는 거와 비슷
      • 특정 파일만 이력을 남기고 싶을 때 : git add 파일이름
      • 변경된 파일 전체 이력 남길 때 : git add .
  4. git commit
    • 수정한 파일에 대한 이력을 남기는 명령어
    • 장바구니에 들어있는 물건을 구매하는 것과 비슷
      • commit 메세지를 한줄로 쓸 경우 : git commit -m”메세지입력”
        • ex) ADD: , MODIFY: ,FIX: ,DELETE:
      • commit 메세지를 여러줄로 쓸 경우 : git commit
  5. git log
    • commit 한 이력 및 massage 확인
    • 구매한 물건의 영수증을 확인하는 것과 비슷
  6. git push
    • 작성한 코드를 git hub에 업로드 할 때
    • git push origin 브랜치이름
  7. git remote
    • git remote add origin 주소입력
      • github의 repository 주소 복붙
      • origin은 가져온 주소의 별칭
      • 로컬의 프로젝트와 github의 repository를 연결
    • git remote
      • github의 repository에 잘 올라갔는지 확인
    • git remote —v
      • 올라간 내역을 더 자세히 알려줌

이제부터는 터미널을 키고 따라하기만하면 깃헙에 깃을 올릴 수 있다.

이해가 안된다면 여러번 반복해서 연습해보면 좋다.


cd desktop

mkdir git //폴더 생성

cd git //git 폴더로 이동

git init //깃 명령어 사용할거라고 알려줌

touch wdcode.md //파일 생성

vim wecode.md //수정하기 위해 vim을 켜줌

i //vim 편집모드

수정할 내용 작성

[esc] //편집모드 나가기

:wq //vim 나가기

git add .

git commit -m"수정한 내용을 간단하게 작성"

git log //커밋한 내용 확인

git remote ~~~~ 적힌 url 터미널에 입력 //respiratory와 연결

git remote --v //깃 연결 확인 ->잘되면 orijin 같은 변수명 뜸

git branch //브랜치 확인 main 또는 master 뜸

git push origin branch //브랜치에 main 또는 master 넣어줌

git push origin 브랜치이름 //github에 올려줌

respiratory 가서 잘 올라갔는지 확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