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편에서 local에 있는 git을 github에 올리는 명령어를 알아보았다.
오늘은 github에 있는 코드를 내려받고 local의 코드와 합치고 재업로드 하는 것을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추가적으로 알게된 명령어를 정리해보았다.
- git clone
- 기존 github의 repository에 있는 코드를 내 로컬로 가져오는 명령어
- 파일 전체를 가지고 오기때문에 처음에 아무것도 없을 때 사용
- git clone 레파지토리주소
- 이때 repository 주소에는 origin 등 별칭을 적으면 안됨
- git branch
- 현재 내가 있는 branch name을 알 수 있음
- git branch 브랜치이름
- main/ master의 코드에 영향이 안가도록 독립된 개발 공간을 만들어주는 명령어
- 브랜치 이름은 내 임의로 정해주면 됨 ->
- git checkout
- 터미널의 cd 처럼 원하는 브랜치로 이동하는 명령어
- git checkout 브랜치이름
- git pull
- git hub에 있는 특정 브랜치의 코드를 로컬로 가져오는 명령어
- 일부만 가져오기 때문에 git hub의 main과 컴퓨터의 main 연결 시 제일 많이 씀
- git pull origin 브랜치이름
- 이때 브랜치 이름은 가져오고 싶은 브랜치의 이름을 적으면 됨
- ->Feature : 기능 만들어낼때, Fix : 고칠때
- git merge
- 로컬에서 현제 브랜치 코드와 특정 브랜치의 코드를 합치는 명령어
- git merge 브랜치이름
- 이때 브랜치 이름은 합치고 싶은 브랜치의 이름을 적으면 됨
이후로는 밑에 있는 명령어를 따라 치기만 해도 깃헙에서 코드를 내려받고 재업로드 할 수 있다.
이해가 안된다면 반복해서 연습해보는 것이 좋다.
[터미널]
cd Desktop
git clone https://github.com/wecode-bootcamp-korea/westagram-frontend.git //레파토리의 코드를 로컬로 가져오는 명령어
git checkout master //master branch로 이동
vs code를 연다.
[VS code]
command + J ->VS code 에서 터미널 열기
git pull origin master //github의 mater branch에서 코드 전체를 가져옴
git branch 새로만들브랜치이름
git checkout 새로만든브랜치이름
git commit -m"메세지내용"
git push origin 새로만든브랜치이름
github의 레파지토리에 Pull requests 가 뜨고 누르면 보고서 작성하면됨
-보고서 제목은 내가 한 영역을 요약해두고 보고서 내용은 form에 맞게 적어두면 됨
-Labels 로 동료들과 간단한 소통
-Pull requests의 제목은 변경되지 않으며 처음올렸을때 한번만 뜬다
---------------------------------------->파일을 local branch에서 github 의 master branch로 올리기 성공
git checkout master
git pull origin master //github master에서 파일을 가져옴
git checkout 새로만든브랜치이름
git merge master
merge 후 나오는 vim 화면은 :wq로 나간다(화면은 comment 적는 공간)
---------------------------------------->github의 코드와 local의 코드 합치기 성공
'🍀오늘도 삽질 중🍀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미널 세팅 후 자꾸 초기값으로 돌아가는거 고치기 (0) | 2023.06.12 |
---|---|
RDBMS와 ERD (0) | 2023.06.10 |
초보자의 터미널 명령어로 git을 github에 올리기 1편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