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2 네트워크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1. 랜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a. 네트워크의 구성 응용 계층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데 필요 전송 계층 목적지에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필요 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필요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데 필요 192.168.1.@, 172.16.0.@, 192.168.10.@로 네트워크를 3개 스위치 :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라우터 :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b. 컴퓨터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에 URL 입력할 때부터 웹 서버에 도착할 때 까지 이뤄지는 OSI 모델의 캡.. 2023. 11. 20. 네트워크 : 응용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1. 응용 계층의 역할 a. 응용 계층의 역할 a-1. 웹페이지 볼때는 웹 브라우저, 메일보내고 받을때는 메일프로그램 사용 애플리케이션 :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분류 가능 서비스 :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이나 동작, 정보 등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 :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 : 서버 서버에서는 웹서버 프로그램과 메일 서버 프로그램등이 있고 이런 애플리케이션은 응용계층에서 동작 a-2. 응용계층 응용계층 = 세션계층 + 표현계층 응용계층 : 애플리계이션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 응용 계층에서는 사용자 측의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통신 대상이 이해할 수 있는 메세지로 변환하고 전송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 OSI 모델의 최상위 계층으로 다양하게 존재하는 .. 2023. 11. 20. 네트워크 : 전송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1. 전송 계층의 역할 a. 전송 계층의 두가지 역할 a-1. 전송계층의 존재 이유 라우팅 정보가 잘못될 수도 있고 많은 라우터를 경유하는 도중 라우터에 문제가 생기거나 패킷 손상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츠의 3층이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 보낼 수 있지만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더라도 해주지 않음 a-2. 전송계층 전송계층 :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달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해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신경쓰지 않도록 함 데이터가 중복되거나 누락되지 않고 오류 없이 순서에 맞게 전송되도록 관리함 a-3. 전송계층의 역할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이 있어 오류 발생 시 데이터 재전송 요청 데이터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는 역할.. 2023. 11. 20. 네트워크 :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1.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a. 네트워크 간의 연결구조 a-1. 데이터 링크 계층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담당 이 규칙에 따라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는 데이터 전송할 수 있지만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로는 데이터 전송 불가능 수많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환경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만으로는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 어려움 a-2. 네트워크 계층 서로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 = 네트워크 간의 통신 네트워크 계층은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위해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을 하며 패킷 전송 담당 a-3. 라우터 라우터 :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할 때 필요한 장비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 알려 주는 기능 .. 2023. 11. 18. 모던 자바스크립트 : ES6 함수의 추가 기능 1. 함수의 구분 a. ES6 이전의 함수 동일한 함수여도 다양한 형태로 호출 가능 모든 함수는 일반 함수로서 호출할 수 있고 생성자 함수로도 호출 가능 모든 함수는 callable, constructor callable : 호출할 수 있는 함수 객체 constructor :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는 함수 객체 사용 목적에 따라 명확한 구분이 없어 호출 방식에 특별한 제약 없고 생성자 함수로 호출되지 않아도 프로토타입 객체 생성 -> 실수 유발, 성능도 별로 메서드라고 부르던 객체에 바인딩된 함수도 callable, constructor 객체에 바인딩된 함수가 constructor 라는것 = 객체에 바인딩된 함수가 prototype 프로퍼티 가짐 프로토타입 객체도 생성 콜백함수 = constructor.. 2023. 11. 18. 모던 자바스크립트 : 클로저 클로저 클로저는 함수를 일급 객체로 취급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특성 자바스크립트 고유 개념은 아니라서 ECMAScript 사야에 등장하지 않음 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 1. 렉시컬 스코프 렉시컬 스코프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 결정 함수 상위 스코프는 함수를 정의한 위치에 의해 정적으로 결정되고 변하지 않음 스코프 체인 : 렉시컬 환경은 자신의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를 통해 상위 렉시컬 환경과 연결 함수 상위 스코프 결정한다 = 렉시컬 환경의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에 저장할 참조 값 결정한다 따라서 렉시컬 스코프란 렉시컬 환경의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에 저장할 참조값, 즉 상위 스코프에 대한.. 2023. 11. 16. 이전 1 ··· 3 4 5 6 7 8 9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