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a. 네트워크 간의 연결구조
a-1. 데이터 링크 계층
-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담당
- 이 규칙에 따라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는 데이터 전송할 수 있지만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로는 데이터 전송 불가능
- 수많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환경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만으로는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 어려움
a-2. 네트워크 계층
- 서로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 = 네트워크 간의 통신
- 네트워크 계층은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위해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을 하며 패킷 전송 담당
a-3. 라우터
- 라우터 :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할 때 필요한 장비
-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 알려 주는 기능
- 레이어 3 스위치 : 네트워크를 분할해 라우팅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
- 라우팅 장비 : 라우터, 레이어 3 스위치
- 라우터를 사용해 거리에 관계없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보낼 수 있음
- 라우팅 테이블 : 라우터에서 경로 정보 등록하고 관리하는 곳
a-4. IP주소
- IP주소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 보내야하는 목적지 주소
- IP주소는 어떤 네트워크의 어떤 컴퓨터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
- IP주소가 있으면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 지정 및 데이터를 어떤 경로로 보낼지 결정 가능
- 라우팅 : 목적지 IP주소까지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하는 것
b. IP란?
- 네트워크 계층에는 IP(internet protocol)라는 프로토콜 있음
- IP : 인터넷에 있는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 할 때 IP 헤더 붙임
- IP 헤더 : 데이터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포함
- IP 패킷 : IP 프로토콜을 사용해 캡슐화할 때는 데이터 IP 헤더가 추가된 것
버전 | 헤더 길이 | 서비스 유형 | 전체 패킷 길이 |
ID(일련번호) | 조각 상태 |
조각의 위치 |
TTL | 프로토콜 | 헤더 체크섬 |
출발지 IP 주소 (32비트) |
목적지 IP 주소 (32비트) |
데이터 |
IP 헤더 |
2. IP 주소의 구조
a. IP주소
- IP주소 : 컴퓨터 네크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
- IP 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게 받을 수 있음
- IP 버전에는 IPv4와 IPv6
- 현재 주로 사용하는 IPv4 주소는 32비트로 IP 주소를 약 43억개 만들 수 있음
-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IP 주소가 부족해졌고 128비트로 된 IPv6 주소 사용해 340간 개 만들 수 있음
- IPv6 네트워크 보급되면서 가정의 TV, 에어컨에도 인터넷 연결해 통신 가능
b.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 IP주소에는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 공인 IP 주소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며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컴퓨터나 라우터에 적용
- 사설 IP 주소 : 회사나 가정의 랜에 있는 컴퓨터에 적용
-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공인 IP 주소는 라우터에만 할당하고 랜안에 있는 컴퓨터에는 랜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자유롭게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거나 라우터의 DHCP 기능 사용하여 주소 자동 할당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IP 주소를 자동할당하는 프로토콜
- 공인 IP 주소 한개로 랜 안에 있는 컴퓨터 세대에 인터넷 모두 연결할 수 있는 환경 만듦
c. IP 주소의 구조
-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는 모두 2진수의 32비트를 동일하게 사용
- MAC 주소는 48비트로 구분하기 쉽도록 16진수로 표시
- IP 주소는 32비트로 구분하기 쉽도록 2진수를 10진수로 표시
- 읽기 쉬워야하기 때문에 8비트 단위로 나눠서 표시 후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
- 32비트를 8비트씩 끊어 네개의 옥텟으로 구분 후 숫자의 범위도 0~255까지 정해져있음
- 8비트를 옥텟이라고 부르기도 함
d.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
- IP 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눠져있음
- 네트워크 ID : 어떤 네트워크인지
- 호스트 ID : 해당 네트워크의 어느 컴퓨터인지
3. IP 주소의 클래스 구조
a. IP 주소 클래스란?
- 네트워크 ID를 크게 만들거나 호스트 ID를 작게 만들어 네트워크 크기를 조정 가능
- 네트워크 크기는 클래스라는 개념으로 구분
- 일반 네트워크에서는 A~C 클래스까지 사용 가능
- 사설 IP 주소는 절대로 공인 IP 주소로 사용할 수 없음
b. 클래스의 종류
클래스 이름 | 내용 | 구조 | 옥텟의 범위 | IP 주소의 범위 |
A 클래스 | 대규모 네트워크 주소 | 8비트 네트워크 ID, 24비트 호스트 ID |
1옥텟 2진수로 00000001~01111111 10진수로 1~127 2~4옥텟 2진수로 00000000~11111111 10진수로 0~255 최대 호스트 수1677만 7214대 1.0.0.0 ~ 127.255.255.255 |
공인 IP 주소의 범위 1.0.0.0~9.255.255.255 11.0.0.0~126.255.255.255 사설 IP 주소의 범위 10.0.0.0~10.255.255.255 |
B 클래스 | 중형 네트워크 주소 | 16비트 네트워크 ID, 16비트 호스트 ID |
1옥텟 2진수 : 10000000 ~ 10111111 10진수 : 128~191 최대 호스트 수 : 6만 5534대 128.0.0.0 ~ 191.255.255.255 |
공인 IP 주소의 범위 128.0.0.0~127.15.255.255 172.32.0.0~191.255.255.255 사설 IP 주소의 범위 172.16.0.0~172.31.255.255 |
C 클래스 | 소규모 네트워크 주소 | 24비트 네트워크 ID, 8비트 호스트 ID |
1옥텟 2진수 : 11000000~11011111 10진수 : 192~223 최대 호스트 수 : 254개 192.0.0.0~223.255.255.255 |
공인 IP 주소의 범위 192.0.0.0~192.167.255.255 192.169.0.0~223.255.255.255 사설 IP 주소의 범위 192.168.0.0~192.168.255.255 |
D 클래스 | 멀티캐스트 주소 | - | - | - |
E 클래스 | 연구 및 특수용도 주소 | - | - | - |
4.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의 구조
a.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트캐스트 주소란?
- 컴퓨터에 할당할 수 없는 IP 주소인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트캐스트 주소
-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트캐스트 주소는 특별한 주소로 컴퓨터나 라우터가 자신의 IP로 사용하면 안되는 주소
- 멀티 캐스트 : 한 컴퓨터에서 패킷을 여러 컴퓨터로 동시에 전송하는 것
- 브로드캐스트 : IP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컴퓨터로 데이터 전송하는 방식
b. 네트워크 주소
-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ID가 10진수로 0, 2진수면 00000000인 주소
- 예시 : 192.168.1.0
- 전체 네트워크에서 작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
- 호스트 ID가 10진수가 0이면 그 네트워크 전체를 대표하는 주소
그림 5-25
c. 브로드캐스트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 : 호스트 ID가 10진수로 255, 2진수면 11111111인 주소
- 예시 : 192.168.1.255
-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나 장비 모두에게 한번에 데이터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용 IP 주소
그림 5-26
5. 서브넷의 구조
a. 서브넷이란?
그림 5-27
- A 클래스의 대규모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해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되는 패킷의 범위를 좁힐 수 있음
- 세브넷팅 : 네트워크 분할하기 위해 IP 주소의 구성을 변경하는 작업
-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성되어 있던 것이 네트워크 ID, 서브넷 ID, 호스트 ID로 나누어짐
- 서브넷팅되면 구성이 네트워크 ID+호스트 ID에서 네트워크 ID+서브넷 ID+호스트 ID로 변경
- 서브넷 : 분할된 네트워크
- 호스트 ID에서 비트를 빌려 서브넷으로 만들 수 있음
- 서브넷 ID :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을 늘리기 위해 서브넷 마스크로 사용되는 비트로 서브넷 비트라고도 함
00000001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
네트워크 ID | 호스트 ID | ||||||
네트워크 ID | 서브넷 ID | 호스트 ID | 호스트 ID |
b. 서브넷 마스크란?
b-1.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를 서브넷팅하면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ID고 어디부터가 호스트 ID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때 서브넷 마스크라는 값 사용
-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식별하기 위한 값
-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만 나타나게 하여 같은 네트워크인지 판별하게 하는 마스크
b-2. 프리픽스 표기법
- 서브넷 마스크를 슬래시로 나타낸 것
- 예시
- c클래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ID가 24비트지만 네트워크 ID를 28비트로 변경하면 4비트를 호스트 ID에서 빌리게 됨
- 네트워크 ID가 24비트, 서브넷 ID가 4비트, 호스트 ID가 4비트
- 네트워크가 ID와 서브넷 ID가 28비트가 되어 프리픽스로 표기하면 /28
그림 5-35
6. 라우터의 구조
a. 라우터란?
a-1. 라우터
-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치로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할수 있도록 도와줌
그림 5-37
- 라우터는 네트워크 분리 가능
- 스위치(레이어 2 스위치)만 있는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컴퓨터와 스위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함
- 허브도 네트워트 분리 불가능
그림 5-38
a-2. 네트워크를 분할한 다음 컴퓨터 한대가 다른 네트워크로 접속하려면 어떻게?
- 컴퓨터 1이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의 IP 주소를 설정해야함
- 컴퓨터1은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낼때 어디로 전송해야하는지 알지 못함
- 그래서 네트워크의 출입구 지정하고 일단은 라우터로 데이터 전송
- 컴퓨터 1은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보낼 때 어디로 전송해야 하는지 알지 못해서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지정하고 라우터로 데이터 전송
- 컴퓨터 1은 102.168.1.0/24 네트워크에 속해 있기 때문에 라우터의 IP 주소인 192.168.1.1로 설정
- 기본 게이트웨이 : 네트워크의 출입구 설정하는 것
- 컴퓨터 자체에서 기본 게이트웨이가 자동으로 설정되어있음
- 기본 게이트웨이 + 라우팅 기능으로 다른 네트워크의 컴퓨터에 데이터 보낼 수 있음
그림 5-39
b. 라우팅이란?
b-1. 라우팅
- 라우팅 :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목적지로 보낼 때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여러가지 경로 중 한가지 경로를 설정해주는 과정
- 라우팅은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최적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
- 라우팅 테이블 :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목적지 주소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시킬 목적으로 사용
-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가장 좋은 라우터 정보 가지고 있음
그림 5-41
b-2. 라우팅 테이블 등록 방법
- 관리자가 수동으로 등록하는 방법과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
- 수동 :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 자동 :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정보를 하나하나 라우터에 등록하기 힘들기 때문
- 등록된 내용이 수정되면 수동으로 변경해야해서 작업량도 많아지기 때문
- 라우터간에 경로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자동으로 수정
- 수동등록 방법처럼 직접 네트워크 관리자가 변경하지 않아도 됨
b-3.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터 간 라우팅 정보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 라우팅 프로토콜 설정해 라우터간에 경로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그것을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하는 것
-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RIP, OSRF, BGP 등이 있음
728x90
'개념 정리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 응용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1) | 2023.11.20 |
---|---|
네트워크 : 전송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2) | 2023.11.20 |
네트워크 :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1) | 2023.11.13 |
네트워크 : 물리계층 :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 (0) | 2023.11.07 |
모두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0) | 2023.11.04 |